Q. 진학사, 대학 어디가 등의 질문
로그인 후 이용해주세요
진학사나 대학 어디가 등 대학 관련 사이트가 있는데요. 해당 대학을 넣고 분석하면 해당 대학을 기반으로 한 산출 등급과 환산 점수가 나오더라구요. 예를 들어, A대학교를 진학사나 대학 어디가 등에 입력하고 분석하면 A 대학을 기준으로 해서 A 대학교의 학생부 성적 반영 방법에 따른 산출 등급이 나오고 환산 점수도 같이 나오더라구요. 이때, 산출 등급은 의미가 없나요? (예 : 1.42 등급, 1.5 등급은 의미가 없는지?) 그럼 무조건 환산 점수만을 보고 평가해야 하는지? 1등급이든 3등급이든 환산 점수가 1000점 중 1000점이면 둘 다 똑같은 성적으로 인정하여 둘 자 만점으로 별 차이없이 둘 다 1등으로 동점인 건가요? 예) A 학생 : A 대학을 기반(기준)으로 하여 A 대학의 학생부 성적 반영 방법에 따른 A 대학 기준의 산출 등급 : 1.0 등급, 환산 점수 : 1000점 B 학생 : A 대학을 기반(기준)으로 하여 A 대학의 학생부 성적 반영 방법에 따른 A 대학 기준의 산출 등급 : 1.8 등급, 환산 점수 : 1000점 C 학생 : A 대학을 기반(기준)으로 하여 A 대학의 학생부 성적 반영 방법에 따른 A 대학 기준의 산출 등급 : 2.5 등급, 환산 점수 : 1000점 인 경우가 있다고 가정합니다. 그럼 이 3명은 각기 성적이 모두 다르고, 또한, A 대학교만의 학생부 성적 반영 방법에 따라 산출한 등급 또한 모두 다 다르지만, 점수로 환산했을 때는 모두 1000점이므로 동점이고 결국 같은 성적으로 인정하여 세 명 다 모두 1등(공동 1등)인 건가요? 고등학교에서 평균 낸 성적도 세 명 모두 다르겠고, 그렇다고 A 대학교만을 기준으로 하여 A 대학교만의 학생부 성적 반영 방법에 따라 산출한 등급 또한 모두 다 다름에도 불구하고, 그 환산 점수가 1000점으로 같으면 딴 건 모두 다 필요없고 동등하게 다 1등으로 동점으로 처리하여 차이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그렇다면, 대학 분석 후 볼 때는 다른 건 모두 1도 필요없고, 오직 '환산 점수 및 만점 점수'만 보면 되나요? 산출 등급, 학생들의 평균 등급, 기타 등은 모두 의미없이 단순 참고용이고... 의미가 있는 건 환산 점수와 만점일 때의 최대 환산 점수, 그리고 학생들의 평균 환산 점수인 건가요?
- 학교
- 컴퓨터과학고등학교
- 계열
- 인문계열
- 학생부 평균등급
- 2
- 수능(모평)백분위/등급
- 언어와매체 60
- 확률과통계 60
- 영어 7
- 정치와법 50
- 경제 50
- 희망 대학교/학과
- 1지망: 대학명
- 2지망: 대학명
- 3지망: 대학명

홍성수 연구원
8/21/2023
안녕하세요. 진학사입니다.
대학이 평가할 때에는 산출등급이 아닌 환산점수로 평가하므로 산출등급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대략적인 지원가능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1등급과 3등급의 환산점수가 동일하다면 동점입니다.
예시의 경우 모두 동일한 등수를 가집니다.
지원하기 전 참고사항으로 여러가지 사항을 따져 볼 필요는 있습니다.
다만, 대학이 합격자와 불합격자를 가리는 기준은 환산점수이므로 다른 것들은 중요치 않다고 생각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