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이과생 심리학과 지원
로그인 후 이용해주세요
극상향 카드로 중앙대 심리학과 지원을 고민하고 있는 이과생 재수생입니다 전교과 2.49이고 국영수사는 2.31, 국영사는 1.89입니다 생기부가 1학년 때 정신의학- 2학년부터 뇌공학에 초점을 맞춘 의공학 연구원이었는데요, 심리학 수업도 들었고 진로 컨셉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에 관심이 많은 의공학 연구원이라 거의 뇌과학 위주로 작성했습니다 중앙대 심리학과의 커리큘럼, 랩실 등등을 보니 상담심리학보다는 인지심리학, 뇌과학, 뉴로사이언스 쪽에 가까워 제 생기부와 큰 틀에서 벗어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우울증의 생물학적 발생 기작을 조사한 뒤 청소년들의 우울증에 대한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 후, 인식 개선을 위한 캠페인을 했고요 뉴로리더십을 활용한 기업 경영에 대해 책을 꼬리 물고 읽어가면서 탐구 보고서를 썼고 심리학 수업 때 mbti이론을 접목한 마케팅에 대해서도 고안해 보고 한계점에 대해서도 언급했어요 아쉬운 점은 사탐을 통합사회, 한국사, 여행지리 외에 이수하지 않았고 확통을 이수하지 못한 데다 수학과학이 2.8 정도로 낮다는 점인데 생명, 화학, 미적 등은 고급과목까지 이수했고 통합사회가 1학년 내내 1등급이었어요 국, 영, 사는 항상 1-2등급에 진로과목까지 성적 세특 모두 알차고요 아, 표준편차도 9-15 정도로 내신 따기 어려운 일반고였습니당 1.그 외에 뇌과학이랑 관련없는 생명 관련 기술들이랑 의학 얘기가 좀 있긴 한데 마이너스 요소일까요? 2. 생윤, 윤사 등의 사탐 과목을 이수하지 않은 이과생의 뇌과학 생기부로 심리학과에 지원해도 될까요? 3. 지원해도 되면 융합형, 탐구형 중 뭐가 나을까요?
- 학교
- 일반고
- 계열
- 자연계열
- 학생부 평균등급
- 2
- 수능(모평)백분위/등급
- 화법과작문 98
- 미적분 78
- 영어 2
- 생명과학Ⅰ 90
- 지구과학Ⅰ 89
- 희망 대학교/학과
- 1지망: 중앙대 [서울]심리
- 2지망: 대학 선택
- 3지망: 대학 선택

진학사 연구원
9/11/2023
안녕하세요. 진학사입니다.
정답이 있는 문제는 아니지만 개인적인 의견을 드린다면
1. 마이너스 요소라고 보이지 않습니다.
2. 지원해 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 융합형 인재의 서류평가 항목 및 비율은 학업역량 50%, 진로역량 30%, 공동체역량 20%이고
탐구형 인재의 서류평가 항목 및 비율은 학업역량 40%, 진로역량 50%, 공동체역량 10% 입니다.
학생부 구체적인 내용을 모르고 평가하기는 어려우나 탐구내용이 구체적이고 심화되었다면 진로역량에 조금 더 강점이 있으시지 않을까 하지만
이 부분은 회원님께서 판단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