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모 전형
군 입대 전 04년생 21살이고 당시에는 이혼을 하지 않았고, 이후 22살에 어머니 아버지께서 이혼 후 지금 22살이 되었을 때 수시 원서를 넣는다면 한부모 전형으로 넣을 수 있을까요? 소득급여나 그런 것들은 기준에 충족합니다.
문과가 동아대 공대지원
고등학교때 문과 과목 듣는등 전형적인 문과 커리 따라갔는데 교과로 감점같은거 없이 동아대 공대 지원 가능한가요?
수능 봐야할까요?
건양대 치위생, 청주대 치위생, 세명대 임상병리, 대전대 임상병리 , 대전보건대 치위생
이렇게 6장하고 전문대 1장 쓰려고 하는데 최저는 없지만 대학교에서 수능 응시를 필수로 생각하는 경우에는 봐야한다고 하는데 입학처에 들어가서 봤는데 어떻게 봐야할 지 모르겠어요 ㅜㅜ 수능을 봐야하는 대학교를 알려주세요 그리고 제 등급이 3.1 정도인데 학교에서 공짜로 해주는 입시컨설팅 선생님께서는 제가 갈 수 있는 대학교은 저 곳들 밖에 없다고 하셨고 저는 대도록이면 치위생과로 가고 싶은데 선생님께서는 임상병리 위주로 써주셔서 이 등급으로 갈 수 있는 치위생과 대학교 좀 알려주세요 .저는 특성화고 재학중이고 농어촌, 지역인재를 쓸 수 있어요 제발 도와주세요 ㅠㅠ 저는 모의고사 같은 거 한 번도 본적이 없어요.. 그래서 밑에 떠 있는 건 임의로 설정해둔 것입니다
문과 수능 재도전 메디컬 가능성, 28수능문의
안녕하세요~
저는 27살 현직 남교사고 문과 출신입니다.
18 수능을 봤었고 당시 성적은 국1/수학 나형1/사탐 1,2/영어1/한국사1 이었습니다.
적성 등 다양한 문제로 이직을 고려 중이고, 그 중에서 수능을 준비해서 의치한약수를 준비해보려고 합니다. 기간은 3년정도 잡고 할 생각입니다. 내신은 2점초반으로 수시를 준비할 정도는 아니라 정시로 준비할 예정입니다.
준비하는 과정에서 궁금한 점이 있어 조언을 구하고자 질문 남깁니다!
1. 우선 과학과 수학은 거의 노베이스라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기본적인 공부 머리는 있는 것 같지만 문과출신이라 이과 공부가 어느정도일지는 모르겠습니다. 얼마전 24수능을 국어와 영어만 풀어봤는데 그래도 두 과목은 1등급 커트라인이 나왔습니다. 의치한약수는 이과에서도 최상위권에 해당하는데, 최소한의 가능성은 있을지 현실적으로 여쭤보고 싶습니다.
2. 2028 수능부터 수능이 개편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당장 지금부터 공부를 시작한다면 국어, 수학, 과학, 사회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리고 정확히 어떤식으로 개편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28수능부터 수학,과학 과목이 바뀐다면 저는 지금 생명 지구과학/ 통합과학 중 어떤 걸 공부하는게 효율적일까요?
3. 2028 수능에 고교 내신이 반영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전 문과출신이라 이과과목은 수강하지 않았는데, 문과출신은 28 수능 이후로는 메디컬 대학 재진학이 어려운걸까요? 문과는 메디컬 대학 진학하려면 27수능까지 반드시 떠야한다는 말을 들어서요 ㅠㅠ 이 말이 맞나요?
식생공 제약 바이오 대학
전체 내신은 4.3 정도인데
식생공이나 제약, 바이오제약 쪽으로 대학을 어디쯤 갈 수 있을까요..? 그리고 대학을 올릴 수 잇다면 어느정도 까지 올릴 수 있을까요...?
상향 적정 소신 하향을
교과(대학별 내신 산출하면 대부분 3초중- 후반 정도 나옵니다 ), 학종(그런 계열로 채웠어요..) 이랑 해서 알려주세요...
지금 적정,하향은 공주대(식생공), 교통대(식생공, 이번에 신설되는 바이오의약), 순천향대 (바이오의약)으로 생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