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 세종대 공대 소신지원 가능할까요
진학사 수능 성적 백분위 69,92,3,86,89 (언매,미적,사탐,과탐) 평백 82.8입니다.인서울 공대 합격하고 싶습니다 ㅜㅜ 현실적으로 알려주세요
jiha*****답변대기
주전형 정시인데 6논술 문의
모평 기준 국어85%수학75% 평균적으로 나오는데요 주전형이 정시라 수시 6논술 쓰려고 하는데요 인문 수리 하나만 고르기가 성적이 애매해서 인문+수리 로 출제되는 전형을 찾고있는데 중앙대 경제 경영, 이화여대인문2,숭실대 상경,건국대 통합,세종대 자유전공,국민대 가천대 수리논술 정도 찾았는데 제가 모르는 다른곳도 있을까요? 이런 전형을 쓰는게 맞을지 인문으로 가는게 맞을지 고민입니다 목표 대학라인은 상향으로 국숭세단 까지 생각하고 있습니다 담임선생님과 컨설팅1은 수리쓰라는데 확통선택자가 볼수있는건지 의문이고 컨설팅2는 인문 쓰라는데 학원을 다녀하는게 부담이되긴하는데 입학처에서 보니 인문은 합격점수가 너무 높아 가능할지 의문입니다 그래서 통합전형을 생각중입니다
언어논술 + 수리/도표통계분석 등의 논술 대학은 추가적으로 한국외대(사회), 한양대(상경) 정도가 있습니다. 기출 문제를 통해 각 대학의 문제 유형을 확인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참고로 세종대 자유전공 같은 경우에는 미적분1을 출제범위로 제시하고 있고, 수학2와 확통은 출제범위에서 제외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각 대학의 출제 범위 여부도 함께 살펴보시면 좋겠습니다.
tmms****답변완료
논술 원서 대학 추천
<1안> 홍익대 법학과 24 경희대 국어국문학과 7 성균관대 인문과학계열 38 세종대 국제학부 12 한국외대 일본언어문화학부 8 인하대 경영학과 22///// <2안> 홍익대 법학과 24 건국대 문과자유전공학부 14 성균관대 인문과학계열 38 세종대 국제학부 12 한국외대 경영학부 31 인하대 경영학과 22 *뒤에 붙은 숫자는 모집인원입니다.
차이는 경희대 국문 vs 건국대 문과자전 / 한국외대 일본언어 vs 경영 정도 밖에 없어 보이는데요. 경희대와 건국대는 모두 경쟁률이 100대 1 이상으로 높기 때문에 모집인원이나 경쟁률은 크게 비교할만한 대상이 아닐 것 같고 어떤 대학의 스타일이 나에게 잘 맞는지를 확인해 보시는 것이 먼저 필요할 겁니다. 학원 등을 다니고 있으시다면 선생님의 의견을 구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한국외대의 경우에도 인문계열의 문항과 사회계열 문항과의 사이에는 영어제시문, 표 그래프 제시문 등의 차이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경쟁력을 살펴보시고, 만약 두 유형 모두 자신감이 있다면 일본언어를 지원하시는 것이 조금 더 나을 겁니다. 최초 경쟁률도 그렇고, 아마도 수능최저를 충족하는 비율 역시 일본언어 쪽이 낮을 가능성이 높을겁니다.
daaa***답변완료
문과 45456 정시
지금 제가 사탐은 하나도 안해서 저지경이고.. 국어 높은4,수학 높은5,영어 높은4 입니다 정시고요. 언매는 항상 다 맞추고 문학 비문학을 많이 틀리고요 (언매 공부는 완벽한 상태입니다) 선택과목은 언매,확통,정법,사문 입니다 1. 지금부터 약4개월 20일 동안 열심히 공부해서 34212 만들 수 있을까요? 2. 34212 정도면 국민대,숭실대,세종대,서울여대 이정도 가능 한가요?
앞으로 노력하신다면 성적은 충분히 끌어올리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너무 무리한 목표가 아니라 현실적인 목표일 수 있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어쨌든 매우 큰 노력이 필요할 겁니다. 말씀하신 성적이라면 각 등급에서 중간 이하의 백분위라고 가정했을 때, 국민대나 숭실대, 세종대에는 다소 어려움은 있을 수 있습니다. 서울여대는 가능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국민대 등의 대학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각 등급에서 높은 백분위를 받을 수 있는 정도가 되어야 할 것 같고, 아니면 수학을 3등급으로 끌어올려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daaa***답변완료
수시반수 교과전형 3-2
1. 건동홍 국숭세단 부경인아 라인에서 교과전형 3학년 2학기를 반영하는 대학은 어느 대학인가요? 2. 예외로, 국민대는 3-2학기 성적을 반영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왜 진학사에서 3-2까지의 내신을 입력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모의지원을 할 때엔 국민대 교과전형으로 (2025학년도 기준) 모의지원을 해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3-2 내신까지 포함되어서 표시가 되나요? 다른 학교도 모의지원을 해 보았는데 표시 되는 내신이 전부 다 높아진 것을 보면 교과전형임에도 3-2학기까지 포함되어 표시되는데 이게 맞는건가요? (ex. 세종대) ++ 추가로 인천대는 작년 지원한 성적 그대로, 즉 3-2 내신을 입력하였음에도 반영되지 않은 것 같은데 그러면 진학사에서 표기해주는 2025학년도 기준 내신 산출에서는 3-2학기를 반영하는 대학은 반영한 결과로(인하대는 작년 성적보다 더 높게 나옴), 반영하지 않는 대학은 반영하지 않은 결과로 표시해주는 건가요? 3. 경북대 생물학과 교과로 지망하는데 최저 2합 6은 맞출 수 있습니다. 그런데 2022 2023 2025는 여유롭게 들어가는데, (경북대식 2.52) 2024학년도만 85% 교과 컷이 2.48이라 문 닫고 들어가거나 떨어졌을 거 같아서. 올해에도 24학년도처럼 그런 일이 일어날까봐 고민이 됩니다. 응용생명과학과를 쓰면 붙을 수는 있을 것 같은데 생물학과를 지망하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ㅠ 생기부는 3년간 생명과학, 생명공학으로 맞추어놨습니다 질문이 많아서 죄송하지만 천천히 읽어주시고 답변 부탁드립니다 ㅠㅠ 감사합니다
1. 질문 주신 대학 중 3학년 2학기까지 반영하는 대학은 건국대, 동국대, 숭실대, 단국대, 부산대, 인하대 입니다. 2. 국민대 교과전형은 졸업생도 3학년 1학기까지만 반영하는 것이 맞습니다. 다만, 회원님 케이스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서는 고객센터 > 1:1문의하기를 통해 질문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본 게시판을 통해서는 회원님의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한 현황을 확인할 수 없어서 그러니 양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입시결과는 매년 변동이 일어 날 수 있습니다. 올해는 전년도 보다 고3 학생수가 4만명 가량 늘어나고 의대 정원의 축소 등의 사항이 있으니, 이런 점도 지원시에는 생각해 보셔야 할 겁니다. 물론 그럼에도 모든 학과의 입결이 항상 올라가는 것은 아닙니다. 7월 이후 오픈 될 올해 기준의 수시합격예측서비스와 지원 시의 경쟁률 등을 고려하셔서 지원 학과를 결정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mirg***답변완료
특성화고 대입
올해 고3 입니다. 1학년 1학기 2.4 2학기 2.6 평균 2.5 2학년 1학기 2.8 2학기 2.6 평균 2.7로 마무리했어요. 1학년땐 교과과목 국어, 수학, 영어, 통합과학, 한국사와 2학년땐 문학, 영어회화, 수1, 통합사회, 중국어1, 생윤 들었고 진로선택과목인 진로영어는 a(1학년 2학기), 사회문제탐구 a(2학년1학기) 받았구요 전문교과인 회계원리, 상업경제, 사무관리, 회계정보처리시스템, 기업자원통합관리는 3에 2할 정도는 a입니다. 3학년 올라가서도 내신 산출되는 특성화고이구요, 제 가 과목들 중에 원점수가 좋지 않은게 있습니다. 수시 접수 시 원점수와 성취도, 전문교과 이수한게 보이는지 궁금합니다. 학과는 경영, 경제, 미컴 농업 쪽 또는 인문학과도 쓰고 싶습니다. 제가 농어촌, 다자녀에 해당되서 저에게 유리한 전형 또한 궁금합니다. 그리고 진로선택과목 반영하는 대학들도 궁금합니다! 단국대 천안캠이랑 본캠, 국민대, 충남대, 경북대, 세종대, 순천향대, 인하대 등 인경기, 대전, 천안 쪽 대학 희망합니다. 각 대학의 모집요강을 봐도 모르는 부분들이 있어 여기에 여쭤봅니다. 수능 최저 없는 전형으로 부탁 드립니다.
1. 수시 접수 시 원점수 등 확인 가능 여부 : 학생부종합전형은 모두 확인하며 학생부교과전형은 대다수의 대학이 평가에 반영하지 않습니다. 단, 학생부교과전형이라도 특성화고전형과 같은 경우에는 전문교과 이수, 성취도를 확인하는 대학도 있습니다. 다만, 아직 2026학년도 전형이 모두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에 2026학년도 수시 요강이 나오는 5월 말 이후 관심대학의 요강을 살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2. 진로선택과목 반영 대학 : 학생부종합전형은 모두 반영하며 학생부교과전형의 경우에는 대부분 반영하지만 반영하지 않는 대학도 있습니다. 다만 확인하더라도 성적이 우수한 3과목, 5과목, 또는 전과목 등 대학에 따라 반영방법이 다르고 a와 b의 점수차이가 크지 않은 곳이 많습니다. 3. 수능 최저학력기준 : 학생부종합전형은 대체로 최저를 적용하지 않습니다. 희망하시는 대학들의 학종도 메디컬 같은 학과를 제외하면 반영하지 않습니다. 학생부교과전형은 대부분 반영합니다. 희망하시는 대학들은 모두 최저를 적용합니다. 4. 성적 외 세특 등 학생부기록에도 장점이 잘 드러난다면 학생부종합전형 위주로, 그렇지 않다면 학생부교과전형 위주로 지원을 결정하시면 좋겠습니다. 일반전형이 아닌 특성화고, 농어촌, 다자녀의 경우에는 대학 마다 해당 전형을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운영하기도 하고, 학생부교과전형으로 운영하기도 하므로 대학의 요강을 살펴보시면 좋겠습니다. 구체적인 대학 지원에 관한 조언은 학생부전체를 확인할 수 있고, 재학중인 고교의 과거 입결을 알 수 있는 학교 선생님과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sua0**답변완료
쓸만한 대학 어디가 있을까요?
언미영생사 82 78 4 83 78입니다. 영어 반영비가 낮은 대학이어야 유리할 것 같은데, 우선 제가 고려해본 대학은 명지, 상명, 가톨릭, 에리카 정도입니다. (인가경 재학 중이라 인가경, 한서삼, 삼여대, 지거국은 지원할 생각 없습니다.) 학과 상관 없이 어느 대학을 고려해보면 좋을까요? 그리고 이 성적대에서 표본분석해서 세종대, 단국대, 광운대 스나이핑 해보는 게 유의미할까요?
희망하시는 대학들이 안정권이라고 생각할 수는 없지만 소신, 적정권으로 잘 선택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세종대, 단국대, 광운대는 어려움이 있어 보입니다. 스나이핑이 얼마나 의미 있을지 말씀 드리기 어렵지만 가,나,다군 세곳 모두 명지, 상명, 가톨릭, 에리카과 같은 곳만 지원하실 것이 아니고 상향을 해보고자 하신다면 표본 분석을 하시는 것이 나을 것 같습니다.
popo****답변완료
정시 라인 봐주세요
숭실대 세종대 광운대 되나요? 가천대 문과는 안정으로 쓸 수 있죠?
대략적으로 가천대의 경우에는 적정, 안정지원권이라고 판단해 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숭실대, 세종대, 광운대와 같이 탐구를 2개 과목 모두 활용하는 대학은 다소 아쉬움이 있지만 그 중에서는 광운대 다소 선호도 낮은 인문계열 학과에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합니다. 정시지원과 관련한 구체적인 사항은 진학사 정시합격예측서비스를 활용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wlsg********답변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