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수생 수시 상담
전북 일반고 이과 (농어촌 가능) 국어 3.14 수학 2.42 영어 4.22 사회 3.29 과학 3.67로 전체 총 등급은 3.3이 나오는 재수생입니다 최저는 2합 5~6정도 맞출 수 있을 것 같아요 ? 1. 가톨릭대 기회균형1 종합 자연공학계열 2. 가천대 가천바람개비 화공생명배터리공학부 3. 경기대 교과우수 융합과학부 (50컷 3.242/70컷 3.273/ 저 3.245) (작년 신설) 4. 전남대 일반교과 자전 1년 (50컷 971.341/70컷 970.430/ 저 968.874) (작년 신설) 5. 충북대 일반교과 자연과학계열 (50컷 75.03/70컷 74.85/ 저 75.44) (작년 신설, 최저완화) 6. 단국대천안 일반교과 자연공학계열 (50컷 974.02 /70컷 971.99/ 저 977.48) (작년 신설) ? 이렇게 카드 구성했는데 잘 구성한 건가요? 작년 신설과가 너무 많아서 불안한데 잘 구성한 걸까요 ㅠㅠㅠ?
교과전형 기준으로 적절히 구성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다만 과거 입결이 아닌 올해 학생들의 지원경향이 포함된 수시합격예측서비스를 활용하신다면 좀 더 구체적인 도움을 얻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dbwl********답변완료
4점대 수시카드 조언부탁드려요!!
내신은 4.07입니다 가톨릭대 식품영양 종합 삼육대 식품영양 종합 강원대 식품생명공학 종합 강원대 농업생명대 자유전공 교과 한림대 식품영양 교과 일단 여기까지 생각해봤어요!, 그런데 나머지 한 개를 도저히 못정하겠더라고요.. 담임선생님은 단국대 천안을 추천하셨고 다른 곳에서는 명지대(용인)도 추천받았어요 근데 다 딱히 잘 모르겠어서 여기에 질문드립니다!! 상향,적정권으로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교과전형으로는 단국대 천안이나 명지대가 어려움이 있어 보입니다. 그래서 아마 학종에 대해 질문하신 것이라고 여겨지는데, 학종은 학생부 구체적인 내용을 알지 못하고 뭐라 말씀 드리기가 어렵습니다. 학생부 전체 내용을 확인하신 선생님의 의견을 따르시는 것이 어떨까 생각됩니다.
taek********답변완료
교과로 어느 학교를 쓸지 고민됩니다ㅡ
456지망 순 입니다 1. 단국대 천안 간호학과(2.58), 경기대 바이오융합 학추(2.65), 경북대 농생대 자전(2.75) 2. 경기대 바이오 융합 2. 경북대 자전 3. 충북대 식품공학 1 과 2 중 어느것이 더 나을까요? 경북대 농생대 자전이 작년 신설이라 하향으로 믿고 써도 될지 고민입니다. 밑에 백분위는 잘 몰라서 등급 썼어요
교과전형은 등급이 아닌 대학환산점수를 통해 가능성을 확인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일단 말씀해 주신 등급을 기준으로 보면 먼저 경북대 농생대는 비교적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수능 최저 충족 여부가 중요하니 혹시나 이를 미충족하는 가능성에 대비하고 싶다면, 최저기준이 좀 더 낮은 충북대가 들어있는 2번의 선택이 더 낫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aeun***답변완료
수시카드 고민
안녕하세요! 수시카드 고민때문에 글써요 수학 2.14(미적3, 확통 1) 미적 기하 확통 과학 2.91(물리,화학3) 물화생지, 물2화2생2지2중 화2는b 사회 3.0 영어 2.41 국어 3.41 전교과 2.86, 국영수사과 2.72 공동교육과정으로 인공지능 수학, 공학일반도 들었어요 지방 과중반이고 생기부는 기계나 스마트 모빌리티로 적혀 있어요 다자녀도 되요 인하대 학종 기계 과기대 학종 기계 전남대 지역인재 교과 기계 전남대식 2.76 항공대 교과(학교장추천) ai자율주행시스템공학과 항공대식 2.55 단국대 학종(서류형) 기계공학과 나머지 한장으로 아주대 다자녀 학종 기계(5명 뽑음)를 쓰는게 맞을까요? 아니면 어디 대학을 써야하나 고민되네요. 너무 다 상향으로 적는 걸까요?
교과전형의 경우에는 적절하게 생각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학종의 경우에는 학생부 구체적인 내용을 알지 못하고 뭐라 말씀 드리기가 어렵습니다. 과탐 성적이 좀 아쉽기는 하지만 세특 등의 내용을 통해 회원님의 역량이 잘 드러난다면 만회 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학종의 특성 상 인하대나 과기대, 단국대, 아주대를 써보시는 것이 합격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말씀 드리기는 어렵지만, 너무 다 상향이라는 고민을 하지는 않으셔도 되지 않을까 보입니다.
cycy****답변완료
단국대 사배자
반수생도 적을수 있나요? 현역만되는건가요?
단국대 사회배려대상자가 정하고 있는 지원자격 (다문화가족, 다자녀 등등)을 갖추고 계시다면 졸업연도에 따른 지원 제한은 없습니다. 반수생도 지원하실 수 있습니다.
hyeo********답변완료
단국대 교과 학종
단국대학교 각각 다른과로 교과1장 사회자배려전형1장 총2장 적을수 있나요?
단국대는 전형별 복수지원이 가능하므로 말씀하신 것과 같이 교과전형으로 1곳, 사회배려자전형으로 1곳 지원하시는 것에 문제 없습니다.
hyeo********답변완료
간호학과 적정 소신
안녕하세요 자대병원있는 간호학과에 가고싶습니다 생기부진로란에는 1학년땐 생명계열, 2학년땐 보건, 생명공학계열, 3학년땐 간호로 밀고있습니다 동아리는 계속 생명동아리였구요 모든활동을 열심히 참여는 했지만 생기부에 자신은 없어요..ㅠㅜ 생기부에서 주로 밀었던(열심히 했던) 활동은 [심장에 관한 강연듣고 독서활동→심근괴사치료한 논문 분석(?)하기, 친구들의 고카페인 과다섭취문제점→카페인 추출실험 물벼룩관찰→ 위험성 알리는 활동, 단백질과DNA전기영동→비교, 역사+ 동의보감속 당뇨,성홍열 치료법→현대와 비교, 지수함수로 심박수, 사인함수로 당뇨스파이크, 미분으로 혈류속도 사이노그램, 동식물 포도당 저장 구조에 따른 구조적이점, 체육+고강도 인터벌 운동이 대사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 있고 3학년땐 근전도센서로 의료기기→효과검증 같은거 하고있고요, 과과연으로 삼중정 제작→DDS 약물전달시스템 이해, 동아리에서 5rights와 IV실습 등 하고있어요 간호지만 2학년땐 공학계열도 꿈꿨어서 물화생(533, 434)했고 3학년땐 화생과 미적확통화작을 했습니다. 2학년때 과탐이 낮은대신 국영수가 높은편이고 3학년때 과탐 둘다 원점수 90점 이상을 맞으려 합니다 3학년 중간고사에서 미적 4(1명 차이), 확통 3(중간), 화작 2(중간)을 받았습니다. 담임선생님과 상담했을땐 아주,성신은 힘들고 을지가 적정, 가천이 소신이라고 들었는데 진학사 AI를 맡겨보니 아주성신까지 적정, 경희 르네상스종합이 소신이라고 나와서요 뭐가 맞나요, 어딜 쓰면 좋을까요 1학년 2.26/ 2.0 2학년 2.76/ 2.62 3학년 3.0(1차) 입니다 (모평점수는 아무거나 넣어놨습니다) (종합우선시, 최저×, 면접 상관×, 농어촌가능입니다) (을지, 가천, 연세대 미래캠, 단국대 천안캠, 한림대, 인하대 생각중입니다 더 높게 봐도 될까요?)
많은 내용을 적어주셨지만, 학생부의 구체적인 표현, 내용 등을 모르고 뭐라 말씀 드리기가 어렵습니다. 만약에 말씀하신 탐구 경험이 학생부를 통해 구체적으로 잘 드러난다면, 아주, 성신까지도 지원해 보실 수는 있겠지만 아무래도 경쟁하는 학생들을 고려해 보면 적정이라고 까지 보기는 어려움이 있지 않을까 합니다. 다만 쓰기 어렵다 이런 정도까지는 아닐 수 있을거고 지원해 보시되, 희망하는 대학 라인을 2~3곳 정도 지원해 보시되, 조금 더 적정권의 선택을 3~4곳 함께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 그 때에도 학종은 합격 가능성을 보장하기 어려운 전형이니 교과전형으로 적정권의 대학을 1~2곳은 같이 하시는 것이 좋겠죠. 지금 최종적으로 생각하시는 것 보다 1,2 곳 정도는 좀 더 선호도 높은 대학을 선택하시는 것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학생부 구체적인 내용을 모르고 말씀을 드리는 것이기 때문에 3학년 학생부가 최종적으로 마무리 된 뒤에 학생부 전체를 확인할 수 있는 학교 선생님 등의 도움을 받아 결정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yeri****답변완료
자사고 3.5등급 수시 삼수생입니다.
현역 때 합격한 대학을 다니다가 여러 가지 불만과 문제로 삼수를 계획 중입니다.(재수 때도 원서를 넣긴 했으나, 부모님의 반강요로 인해 제 성적으로 턱없이 부족한 대학에 밖에 원서를 넣지 못했습니다.) 모교는 서울 소재의 광역 자율형 사립고이고, 내신 경쟁이 꽤나 치열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또한 고등학교 자체가 수시 전형에 강한 학교라 매년 수시로 주요 대학에 학생들을 꾸준히 보내기에, 생기부는 양과 질은 좋다고 생각합니다. 생기부는 1학년 때는 인문학/사회학 위주로 채웠고, 2학년-3학년부터는 역사와 관련된 내용으로만 채웠습니다. 성적은 1학년 3.95 - 2학년 3.65 - 3학년 1학기 3.1 / 2학기까지 포함한다면 3.4 이고, 보시다시피 소폭의 상승곡선 양상을 띄고 있습니다. 지망하는 학교/전형/학과는 1) 단국대/서류형/인문광역계열 / 2) 단국대/면접형/사학과 3) 숭실대/면접형/사학과 입니다. 질문드리고 싶은 사항은 3가지입니다. 1. 삼수생으로서 얻게 되는 불이익이 있을까요? 감점 요소나 경쟁 요소 등에 있어 관련된 정보가 궁금합니다. 2. 24학년도 졸업생으로서 제 23학년도까지의 생기부 스타일이 현재 입시판에서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부족할지 궁금합니다. 당시 유행했던 생기부 스타일과 지금 유행하는 생기부 스타일에 큰 차이가 존재할까요? 3. 앞서 말씀드렸던 학교들에 대한 제 합격 가능성이 얼마나 될까요? 물론 학생부 종합 전형인 만큼 자세하게 확정해서 말씀하시긴 힘들겠지만 대략적으로 보셨을 때 합격 가능성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26학년도 단국대식으로는 3.5, 숭실대식으로는 3.39입니다.
1. 삼수생이기 때문에 감점하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대학들이 발표하는 자료를 보면 졸업생은 지원자 대비 합격률이 낮은 편이기는 하지만 이는 졸업생을 감점하며 평가하기 때문이라기 보다는 학생부 그 자체의 경쟁력이 높지 않기 때문일 것으로 보입니다. 2. 갈수록 학생들의 학생부 기록이 상향평준화 되고 있습니다. 낮은 등급대 학생들의 학생부 중에도 학생부 기록이 눈에 띄는 학생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죠. 다만 2024학년도에도 이미 많이 상향 평준화가 이뤄진 상태고 생기부 스타일? 같은 것에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3. 학생부 구체적인 내용을 모르고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해 평가하기는 어렵습니다. 경쟁력 높은 고등학교 였다면 단순 성적으로 보았을 때 희망대학들에 지원하는 것이 큰 불리함은 없을 수 있습니다. 다만, 2024학년도 대비 2026학년도 대입을 준비하는 재학생 숫자가 꽤 많이 증가했습니다. (3월 모의고사 응시생 2023년 : 308,815명 2025년 : 351,454명) 대학 모집정원 대비 경쟁학생 수가 늘었다는 점은 2024학년도 대비 불리한 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yunt*******답변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