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말과 글에 대한 폭넓은 연구와 분석을 통해 국어 문화 발전에 능동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하는 데에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우리말과 문학 작품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변천사를 살피고 철학, 문화 등 사회의 다양한 요소들과의 관계 속에서 심층적 의미를 탐구함으로써 우수한 인문학적 소양을 갖추는 데 중점을 둡니다.
교육계(대학교수, 중등교사, 한국어강사, 스피치강사, 논술지도사 등) 방송계(신문방송 기자, 프로듀서, 작가 등) 광고홍보출판계(출판물기획자 및 편집자 카피라이터, 광고기획자, 소셜미디어분석가, 미디어콘텐츠창작자 등) 문학계(시인, 소설가, 극작가, 평론가 등)
언어의 다양한 현상 및 표현과 이해 활동에 관심이 높은 학생, 다양한 문화예술 및 글쓰기와 읽기 활동에 흥미가 높은 학생, 상상력과 창의력을 갖춘 학생 등에게 적합함. 또한 언어와 관련한 사회·문화적 현상의 탐구 및 이해에 관심이 필요합니다.
국어음성학, 국어음운론, 국어형태론, 국어통사론, 국어학연구방법론, 한국고전문학사, 한국 고전 문학의 이해, 고전소설의 이해, 한국근대문학사, 현대문학이론, 현대사특강, 현대작가연구
* 4년제 대학 국어·국문학과 전체 평균
* 2025학년도 수시 일반전형 기준
* 2024학년도 입학자 기준
* 2024학년도 입학자 기준